전체 글92 서버리스 아키텍처 서버리스 아키텍처(Serverless Architecture)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것은 마치 "음식 배달 앱을 통해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고 집에서 편안히 즐기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직접 요리할 필요 없이, 원하는 음식을 선택해서 주문하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요리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서버리스 아키텍처에서는 개발자들이 서버를 직접 관리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운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서버리스의 특징] 서버리스는 "서버 없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클라우드 제공 업체가 인프라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관리할 서버가 없다 라는.. 2024. 3. 16. MA와 MSA 구조 모놀리식 아키텍처(MA)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마치 "대형 마트에서 사고자 하는 물품 쇼핑을 한번에 할 수 있는 것" 과 같습니다. 당연히 마트 한 곳에서 모든 물품을 살 수 있기 때문에 편하고 구매 속도가 빠르겠죠! 하지만 마트가 문을 닫는다면 아예 물품을 못사기도 하겠네요😞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면, 사용자의 로그인부터 주문, 상품 정보 등 모든 기능(마트에서 사고자 하는 물품)이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대형 마트) 안에서 통합 관리되고 개발되는 것입니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장점] 특히 작은 팀이나 간단한 프로젝트에서는, 속도감 있는 프로토타이핑과 배포의 단순함을 추구하며 주로 모놀리식 방식을 택합니다. 이런 접근법은 프로젝트의 아키텍처를 간단히 유지할 수 있게 해 주어, 디버깅이나 테스팅,.. 2024. 3. 15. 캡스톤 매칭 결과 오늘은 캡스톤 매칭 결과가 나왔다. 내가 해야하는 과제는 레몬 클라우드의 실시간 공동 라벨링 작업 이다. 지금까지 주어진 정보는 과제 개발 개요 작업자와 검토자가 동시에 접속함 작업자의 선택화면과 작업상대가 실시간 표시됨 검토자가 작업상태를 검토하고 라벨링 데이터를 수정하면 실시간 업데이트 되어 표시됨 온라인 채팅 기능으로 팀원간의 커뮤니케이션 가능 개요를 보면 동시에, 실시간, 채팅과 같은 기능 설명들이 눈에 띈다. 채팅 관련 기능을 노드에서 구현해봤지만 작동 방식이 완벽하게 이해가 되진 않았었기에 채팅을 다시 한번 구현해봤으면 했다. 특히 알림은 SSE 방식으로 구현을 했는데 그 차이에 대해서도 좀 고찰을 해보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플젝 투두리스트? 위시리스트? 이런거 좀 만들어서 정리해봐야겠다... 2024. 3. 14. 큐(Queue)란? 📘 큐(Queue)란 무엇인가요? FIFO(First In, First Out)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구조 🌟 큐의 장단점 👍 장점 - 정렬된 데이터 처리 : 큐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처리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실생활 문제 모델링 : 실제 세계의 많은 시나리오(대기열, 프린터의 인쇄 작업 등)를 큐를 이용하여 쉽게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데이터 접근 제한 : 큐에서는 맨 앞의 데이터만 접근 가능해서 나머지 데이터들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하나씩 빼야 합니다. - 메모리 용량 : 때로는 큐의 길이가 커지면서 메모리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큐의 시간 복잡도 데이터 접근 시간: O(n) -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순차 접근이 필요 데이터 삽입/삭제 시간.. 2023. 10. 11. 스택(Stack)이란? 📘 스택이란 무엇인가요? LIFO(Last In, First Out)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는 구조 간단한 예로 책을 쌓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책더미에서 책을 꺼낼 때 가장 위에 있는 책부터 꺼내게 됩니다. 이게 바로 스택의 기본 원리입니다! 🌟 스택의 장단점 👍 장점 - 단순하고 빠르다 : 스택은 구조가 단순하며, 데이터 접근/저장이 빠릅니다. - 명확한 규칙으로 인한 오류 감소 : LIFO 규칙이 명확하므로 예상치 못한 오류가 줄어듭니다. 👎 단점 - 데이터의 접근 제한 : 중간에 있는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위에 있는 데이터들을 모두 꺼내야 합니다. - 메모리 할당 : 스택의 크기가 변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메모리를 할당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스택의 시간 복잡도 데.. 2023. 10. 11. 연결 리스트(Linked List)란? 🚀 연결 리스트(Linked List)란 무엇인가요?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 *포인터는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와의 연결을 담당합니다. 🚄 🌟 연결 리스트의 장단점 👍 장점 - 동적 크기 : 연결 리스트는 동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를 할당 받을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삽입 및 삭제 용이 : 포인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데이터의 삽입 및 삭제가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빠릅니다. 👎 단점 - 선형 접근 : 인덱스를 통한 접근이 없기 때문에,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노드를 따라가야 합니다. - 메모리 오버헤드 : 각 노드에 데이터 외에 포인터 정보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이 상대적으로 많.. 2023. 10. 1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