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2 서버리스 아키텍처 서버리스 아키텍처(Serverless Architecture)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것은 마치 "음식 배달 앱을 통해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고 집에서 편안히 즐기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직접 요리할 필요 없이, 원하는 음식을 선택해서 주문하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요리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서버리스 아키텍처에서는 개발자들이 서버를 직접 관리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운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서버리스의 특징] 서버리스는 "서버 없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클라우드 제공 업체가 인프라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관리할 서버가 없다 라는.. 2024. 3. 16. MA와 MSA 구조 모놀리식 아키텍처(MA)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마치 "대형 마트에서 사고자 하는 물품 쇼핑을 한번에 할 수 있는 것" 과 같습니다. 당연히 마트 한 곳에서 모든 물품을 살 수 있기 때문에 편하고 구매 속도가 빠르겠죠! 하지만 마트가 문을 닫는다면 아예 물품을 못사기도 하겠네요😞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면, 사용자의 로그인부터 주문, 상품 정보 등 모든 기능(마트에서 사고자 하는 물품)이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대형 마트) 안에서 통합 관리되고 개발되는 것입니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장점] 특히 작은 팀이나 간단한 프로젝트에서는, 속도감 있는 프로토타이핑과 배포의 단순함을 추구하며 주로 모놀리식 방식을 택합니다. 이런 접근법은 프로젝트의 아키텍처를 간단히 유지할 수 있게 해 주어, 디버깅이나 테스팅,.. 2024. 3.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