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 공부/DB

데이터베이스 제약조건

by 꼬질꼬질두부 2023. 10. 5.
반응형

1. 도메인 제약조건(Domain Constraint) 🎯

웹사이트에서 가입을 할 때, 만약 나이를 숫자가 아닌 알파벳으로 입력해야 한다면 어떨까요?🫢

여기서 도메인 제약조건이 도움을 줍니다.

이게 뭔가요?
정의: 도메인 제약조건은 속성(열)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종류와 유형을 지시합니다.
왜 중요한가요?
데이터 일관성: 이 제약조건은 데이터가 일정한 포맷과 유형을 준수하도록 보장합니다.


2. 키 제약조건 (Key Constraint)🗝️

데이터의 중복 없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키'가 필요합니다.

이게 뭔가요?
정의: 키 제약조건은 모든 행이 각기 고유하게 식별되도록 하는 속성입니다.
왜 중요한가요?
데이터 식별: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확한 식별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3. 엔터티 무결성 제약조건(Entity Integrity Constraint) 🛡️

"누구세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모르겠어요"라면? 😞 

엔터티 무결성이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이게 뭔가요?
정의: 엔터티 무결성 제약조건은 기본키의 모든 속성이 NULL이 아니어야 함을 보장합니다.
왜 중요한가요?
정확한 식별: 이는 테이블의 각 행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Referential Integrity Constraint)🔄

주문을 하고 상품을 받기를 기다리는데, 상품 정보가 없다면?

참조 무결성이 없는 경우입니다!

이게 뭔가요?
정의: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은 외래키 값이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일치해야 함을 보장합니다.
왜 중요한가요?
데이터 관계 유지: 이를 통해 관련 데이터 사이의 관계가 유지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이 향상됩니다.

 

데이터 관리에 있어 이 제약조건들은 필수적이며,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와 검색을 위한 핵심적인 원칙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BE 공부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SQL과 NoSQL  (2) 2024.04.10
데이터베이스 쿼리란?  (2) 2023.09.04
MySQL 쿼리 기본 정리  (1) 2023.08.22
SQL이란?  (1) 2023.08.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