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2024 Google Solution Challenge Top 100 회고] 1. 아이디어 도출 과정

꼬질꼬질두부 2025. 5. 22. 15:02
반응형

다 늦은 2024 Google Solution Challenge Top 100 회고😃

 

2024년 1월, 너겟이라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보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백엔드로 참여하였고,

2024년 4월, Google Solution Challenge Global Top 100 Team으로 선정되었다🎉🎉

 

https://developers.google.com/community/gdsc-solution-challenge/winners


24년도에 회사에 입사한 후,
신입 개발자로서 하루하루의 업무를 정신없이 쳐내기만 하다보니 생각하지 않고(사고하지 않고) 개발한다는 피드백을 많이 받았다.

 

피드백을 개선하고자 관련 개발 서적들을 읽는 중인데,
읽은 내용들을 업무나 과거 플젝들 회고에 적용하며 이때 ~~하게 생각해보면 좋았을걸! 하는 중이다.ㅎㅎ

 

업무 회고는 얼추 끝냈찌만!!

내가 불태웠던 대학생 시절 플젝들도 하나씩 회고하고자 (갈아넣은 플젝들이 너무 많은데 취업했다고 그냥 묻기는 아까워서ㅠ),

내 대학생 시절 최고 업적 2024 구글 솔챌 글로벌 탑백 진출부터 하나씩 꺼내보기로ㅎㅎ


이 글들을 통해 우리 팀이 어떤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구현했는지와, 탑백이 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개발적으로 아쉬웠던 부분까지도!!


`너겟`이란?

글로 설명하기보다는, 프로젝트 발표할 때 사용했던 slides와 데모 영상, 깃허브 레포를 첨부하겠다.

1. 프로젝트 소개와 주요 기능

2. 데모 영상

Watch the Demo video on YouTube

권모씨의 살신성인,,,

 

3. 깃허브 레포

스프링 개발 지식이 짧을 때 진행한 프로젝트라 코드는 형편없지만🙃 슬쩍😃

진짜 코드 별로니깐 코드 까보지는 마새요ㅎ 나중에 개발 부분 회고하면서 반성하겠습니다🙇‍♀️

너겟 깃허브 레포

 

GitHub - Nugget-KnockAt/Nugget-BE: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보조 어플리케이션_2024 Google Solution Challenge Glob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보조 어플리케이션_2024 Google Solution Challenge Global Top 100 선정 - Nugget-KnockAt/Nugget-BE

github.com


아이디어 도출하기

0. 협업 툴

공동 자료 정리는 google docs로!

회의록과 일정 관리는 노션으로!

노션 활용

비대면 회의나 모각코는 게더 타운으로!

코드 관리는 깃허브로!

1. 팀원들의 기술 스택  확인

먼저 우리는 플러터 1명, 스프링 2명, AI 1명  총 4인으로 꾸려진 팀이었다.

플러터와 스프링 담당 개발자 모두 앱이나 웹 개발 위주 프로젝트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iOS 앱 개발을 하기로 했다!

추가적으로, AI를 담당했던 오빠가 임베디드 분야에도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하드웨어를 잘 사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주었다.

이 의견 아니었으면 너겟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리지도 못했을 것 같다😃

2. 각자 기획 아이디어 생각해온 후 디벨롭하기

우리는 첫 회의 전까지 공유 google docs에 ```Google이 제시한 사회적 문제 중 해결하고 싶은 분야 + 아이디어```를 적어오기로 했었다! 정말 추상적으로만!! 구현 가능 여부는 차차 생각하기로ㅎㅎ

 

그리고 회의를 통해 1.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2. 구체화하고, 3. 다시 엎고^^ 를 무한 반복했다.

! 아 그리고 서로의 아이디어에 대해 부정적인 말은 전혀 하지 않았고, 어떤 아이디어더라도 최선을 다해 디벨롭했다 !

 

물론 그 안에서도 좋았던 아이디어들이 정말 많았지만!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는 남들도 이미 생각해서 개발해놨더라~` 가 깨달은 점이었다ㅎ

사실 그냥 개발해도 됐지만, 괜히 아이디어가 겹치고 싶지않아 더 열심히!! 신박한 주제들을 제시하고 디벨롭했다.

Global Top 100에 선정되어 확인해보니, 너겟의 아이디어도 다른 한국팀과 겹치긴 했었다 하하

 

3. 너겟이 디벨롭된 과정!

너겟은 ``지팡이``라는 단어에서 시작됐다..

 

AI를 담당했던 오빠가 하드웨어를 잘 사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냈고, 연이어 하드웨어와 관련된 아이디어들이 나왔다.

그 중 하나가 지팡이에 카메라를 부착해 장애물 위치를 감지해준다면? 이었다.

시각장애인 분들은 지팡이를 통해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애물을 탐지한다.
지팡이가 원거리나 사각지대의 장애물도 탐지하여 사용자가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좋을 것 같다.

 

웹앱 개발자들이 구현이 가능할까? 라는 생각이 바로 들었지만, 회의를 통해 아이디어를 다듬어갔다.

 

🙎‍♂️: 지팡이 + 카메라 말고 사람들이 대부분 들고다니는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해보면 어떨까?

🙍‍♀️: 핸드폰을 쓰는거면, 사용자 위치 정보로 사고 위험 구역을 지나갈 때 경고 알림을 띄워도 괜찮겠다.

🙎: 사용자 움직임 감지하는 공개 api 이용해서, 낙상 감지하거나 사고 감지하면 보호자에게 알림을 보내도 좋을 것 같다.

 

이런 느낌으로 앱에 대한 기획을 구체화해나갔다.

 

기능에 대한 구체화 과정은 아래와 같았다!

 

🙎‍♂️: 주요 타겟층이 시각장애인 분들일테니, 모든 기능을 음성으로 처리하도록 하는게 어떨까

-> tts를 통해서 전방 몇 미터 앞에 무엇이 있다라고 알려주기, 음성으로 앱 조작 가능하도록

 

🙍‍♀️: 음성 혹은 간단한 제스처로 조작하는게 좋을 것 같아
-> 터치 횟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 화면 1번 터치시 주변 장애물들 음성으로 노티 & 2번 터치시 보호자에게 이벤트 알림 전송

 

🙎: 위급 상황에 보호자에게 알림을 보내도 좋을 것 같아

-> 사용자 움직임을 감지하는 공개 api 이용해서, 낙상을 감지하거나 사고 감지하면 보호자에게 노티

 

🙍🏻‍♂️: 그렇다면 보호자와 관련된 기능들도 디벨롭해보자

-> 긴급 전화 연결 기능, 이벤트 발생시 팝업 알림 +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위치를 지도에 표시

 

이런 식으로 주요 기능들을 정리하고, 구현에 들어갔다.

반응형